합천(陜川) 지명과 철기문화
합천陜川지명과철기문화의상관성.hwp | |
목차 1. 머리글 2. 합천지명의 변천과 철기문화 3. 쇠와 지명의 유연성과 언어지리 4. 마무리
본문 마을의 이름은 그 마을의 역사나 사회적 특징, 또는 신앙이나 정치 경제와 더불어 지형을 상징적으로 반영하는 경우가 많다. 마을의 이름도 언어의 자료인 만큼 이를 일러 언어의 문화론적인 접근이란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합천은 역사적으로 본디 대가야 지역이었다. 가야산을 정점으로 하는 불교 신앙이 두드러지는 고장이다. 아울러 야로(冶爐)를 중심으로 하는 철기문화의 모꼬지라고 할 수 있다. 동시에 지형적으로는 가야산에서 발원하는 가야천과 초계천이 황강(黃江)에서 만나 낙동강으로 흘러든다. 그러니까 가야천과 황강 사이에 이루어진 고을이라고 하겠다. 철기문화를 뒷받침할 수 있는 것은 쌍책(雙柵)의 옥전고분군에서 출토된 용봉 무늬의 환두대검(丸頭大劍)은 말할 것 없고, 2000여 점에 달하는 철제 출토품이 이를 반증해 주고 있다. 출토품 가운데에서 가장 눈에 뜨이는 것은 황금칼인데 용과 봉의 무늬를 한 둥그런 칼자루를 하였다. 출토품을 이르자면 백제의 무령왕릉과 신라의 천마총에서 나온 것과 다르지 않다. 고대의 왕국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 밖에 구슬이 출토됨으로 하여 옥전(玉田)이란 지명도 생겼으며, 말의 투구와 말굽쇠가 나온 것으로 보아 상당한 국방력과 생산력을 갖춘 왕국이 아니었던가 한다. 이 왕국이 다라(多羅)국이었을 것으로 상정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있다. 철기문화와 함께 합천은 가야산 해인사를 중심으로 한 불교문화의 성지였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가야시대부터 고려에 이르는 일천 수백 년의 불교문화가 합천의 지명에는 어떻게 투영되었는가를 알아보는 작업도 문화기호론적인 관점에서는 하나의 논의 초점에 값하는 사안이라 할 수 있다. 합천의 이러한 철기문화와 불교문화의 특징이 실제로 지명에는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가를 언어지리적인 방법에 따라서 살펴보도록 한다.
본문내용 을의 이름도 언어의 자료인 만큼 이를 일러 언어의 문화론적인 접근이란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합천은 역사적으로 본디 대가야 지역이었다. 가야산을 정점으로 하는 불교 신앙이 두드러지는 고장이다. 아울러 야로(冶爐)를 중심으로 하는 철기문화의 모꼬지라고 할 수 있다. 동시에 지형적으로는 가야산에서 발원하는 가야천과 초계천이 황강(黃江)에서 만나 낙동강으로 흘러든다. 그러니까 가야천과 황강 사이에 이루어진 고을이라고 하겠다. 철기문화를 뒷받침할 수 있는 것은 쌍책(雙柵)의 옥전고분군에서 출토된 용봉 무늬의 환두대검(丸頭大劍)은 말할 것 없고, 2000여 점에 달하는 철제 출토품이 이를 반증해 주고 있다. 출토품 가운데에서 가장 눈에 뜨이는 것은 황금칼인데 용과 봉의 무늬를 한 둥그런 칼자루를 하였다.
참고문헌 삼국사기. 삼국유사. 대동지지. 신증동국여지승람. 김도윤, 가야문화논총, 경미문화사, 2001. 이병선, 다라의 지명 고찰, 지명학 4집, 한국지명학회, 2001. 합천 지명사, 합천문화원, 199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