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1월 25일 수요일

고도 성장과정과 경제성장모형

고도 성장과정과 경제성장모형
고도 성장과정과 경제성장모형.hwp


목차
Ⅰ. 서 론
Ⅱ. 외생적 성장모형과 내생적 성장모형의 구분
Ⅲ. AKL모형의 내생적 성장특성과 수렴과정
Ⅳ. 생산과 교육의 2부문 내생적 성장모형
Ⅴ. 생산적 공공서비스의 내생적 성장 영향과정
Ⅵ. 결 론


본문
경제성장론이 경제분석에서 찬연한 금자탑을 쌓을 수 있었던 것은 Harrod-Domar의 불안정 하였던 안티노미(antinomy) 성장론을 균형성장론으로 전환시킨 Solow-Swan 모형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이들의 성장론 마져 경제분석에서 유명무실화 되었던 것은 이들에서 비롯되는 신고전파성장론이 중대한 결함을 내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Solow(1956), Swan(1956)의 성장론요체는 신고전파 생산함수와 생산요소간의 유연한 대체과정과 그리고 그 생산함수의 고정저축율규칙과의 결합에 의한 균형성장경로 전개이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모형으로부터는 다음과 같은 성장과정이 예측된다.
첫째, 조건수렴과정(conditional convergence)이 예측된다. 즉 1인당 실질GDP 수준을 장기적으로 그리고 균제과정을 중심으로 볼 때 낮은 1인당 자본량에서 경제가 출발하였다면 성장율은 빠르게 진행된다는 예측인데 그러나 이에는 어떤 상이한 경제정책이나 인간자본의 차이가 고려되고 있지 않다.


둘째, 이들의 성장모형은 기술발전이 지속되지 않으면 1인당 GDP성장율은 종식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예측은 자본의 수익체감으로부터 도출된다. 그러나 무수한 통계자료는 1인당 실질성장율은 아마도 수 세기동안 지속할 수 있을 것으로 시사되고 있으며 하향성장율도 보이고 있는 것 같지 않다.
셋째, 이들의 성장모형은 과도하게 기술적, 전문적으로 분석기법화 하는 가운데 실증을 어렵게 만들었을 뿐 아니라 발전론자와의 간에 분석 이분화를 초래하였다.
1960년대 초 Neo-Keynsian들인 신고전파 성장론자들은 그들의 성장론모형에 대해 결함을 인지하기 시작하였다. 그래서 그들은 외생적 방법으로 기술발전을 보완함으로써 모형을 대충 수선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보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결함은 남아 있었다. 1인당 장기적 성장율이 외생적 기술발전에 의하여 유일하게 결정된다 하더라도 그것은 모든 것을 설명하지만 장기적 성장율만은 설명하지 못하는 문제를 그대로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실제로 경제성장론은 1970년대 퇴조하기 시작하였다. 오늘에 이르러 새로운 경제성장론 접근의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Paul Romer는 다음과 같이 저간의 사실을 기술하고 있다.



본문내용
모형
Ⅴ. 생산적 공공서비스의 내생적 성장 영향과정
Ⅵ. 결 론
I. 서 론
경제성장론이 경제분석에서 찬연한 금자탑을 쌓을 수 있었던 것은 Harrod-Domar의 불안정 하였던 안티노미(antinomy) 성장론을 균형성장론으로 전환시킨 Solow-Swan 모형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이들의 성장론 마져 경제분석에서 유명무실화 되었던 것은 이들에서 비롯되는 신고전파성장론이 중대한 결함을 내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Solow(1956), Swan(1956)의 성장론요체는 신고전파 생산함수와 생산요소간의 유연한 대체과정과 그리고 그 생산함수의 고정저축율규칙과의 결합에 의한 균형성장경로 전개이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모형으로부터는 다음과 같은 성장과정이 예측된다.
첫째, 조건수렴과정(conditi
경제,성장,모형,일반학술자료,요약,정리,Harrod Domar 투자모형,내생적 성장모형
이 자료는 http://www.jisik-book.com에서 제공하는 유료자료입니다.